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Cover Story] 코스트코 납품 '빛과 그림자'

한인식품업체 A사는 수 년의 시간과 막대한 비용을 들인 끝에 마침내 코스트코로부터 납품 허가를 받았다. 코스트코 진출은 주류사회 진출의 보증수표로 꼽히고 있는 터라 샘스클럽이나 본스 납품 때보다 기대가 훨씬 컸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6개월 만에 퇴출명령을 받았다. 단위면적 당 매출 기준에 미달된다는 이유였다. 납품을 위해 제 3자를 통한 감사에 수만 달러 로드쇼에 역시 수만 달러를 쏟아부은 노력이 모두 수포로 돌아갔다. 코스트코에 납품하는 한인업체들이 증가하고 있고 납품하려는 노력도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그 결과가 반드시 좋지만은 않다. A업체처럼 코스트코 납품에 대한 지나친 낙관은 자칫 막대한 손해를 야기할 수 있다. 코스트코 납품의 효과성을 따져봤다. ▷납품 기준 '군부대의 10배' = 현재 코스트코에 꾸준히 납품하고 있는 한인 식품업체는 4~5개이다. 즉석밥인 민슬리 코스모스 김치 미세스메이스 한국 신고배 업체 등이다. CJ는 오하나 만두를 로드쇼를 통해 알리고 있다. 한번 코스트코에 물건을 들여본 업체들은 하나같이 미군 부대에 납품하는 것보다 10배 이상은 어렵다고 털어놓는다. 국제기준인 ISO 9000보다 비슷하거나 더 까다롭다고 말하는 업체도 있다. 코스트코는 식품업체가 제3자의 감사 기관을 통해 품질과 위생증명서 제출을 요구한다. 체크리스트가 50페이지 가량 되고 준비 사항까지 포함하면 수백 페이지가 넘는다. 위생 검사도 감사기관이 직접 공장을 방문해 전 과정을 직접 확인 생산 시설이 기준 이하일 경우에는 바로 불합격 처리한다. 한번 탈락 후 재신청하려면 최소 수개월이 걸리며 검사 기준이 더 엄격해진다. 납품을 하려고 구매 오피스를 방문해서 신청서를 작성한다 해도 대기 기간이 수 개월에서 1년 이상이 걸린다. 바이어가 일단 제품에 관심을 보이면 로드쇼를 진행해야 한다. 로드쇼는 한 지점당 3~4일씩 12군데 지점을 다녀야 하며 인건비와 설치비 샘플비를 합쳐 수만 달러가 든다. ▷업체 따라 성과 엇갈려 = 납품 업체들은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매출이 안정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최대 장점으로 꼽는다. 15년째 김치를 공급해 온 데이빗 김 코스모스 식품 대표는 "코스트코는 물건이 좋고 경쟁력이 있다면 납품을 권한다"며 "처음에 문턱을 넘기가 어렵지 한번 팔리기만 하면 꾸준한 매출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코스모스 식품 연매출 300만 달러 가운데 코스트코의 비중이 70만 달러 가량 된다. '즉석밥' 민슬리의 송태진 대표는 "일단 코스트코를 뚫으면 이후엔 다른 마켓이나 유통업체는 손쉽게 진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민슬리는 현재 LA지역 45개와 사우스 다코타 애리조나 네바다 콜로라도 유타 등 중서부 지역 48개 매장에 진출해 있다. 그러나 꾸준한 납품이 쉽지만은 않다. 납품을 중단한 B 업체 대표는 "갈비 김치 배 만두 등의 극히 소수의 음식을 제외하고는 아시안 식품이 코스트코에서 성공하기가 어렵다"며 "로드쇼에 수만 달러 쓰고도 몇개월이 안되서 쫓겨 나는 게 요즘 현실"이라고 말했다. 최상태 기자

2010-03-15

'현미 즉석밥' 코스트코 납품 '민슬리'···처음부터 주류시장 겨냥

한국 먹거리의 주류 시장 진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이번엔 한국 밥이 코스트코에 진입해 아이템을 확대하고 있다. 즉석밥 전문 민슬리(대표 송태진)는 지난해 10월부터 LA지역 45개와 사우스 다코타 애리조나 네바다 콜로라도 유타 등 중서부 지역 48개 매장에 '민슬리 유기농 현미 즉석밥(Minsley Organic Cooked Brown Rice Bowl)'을 납품하고 있다. 올해는 뉴욕을 비롯해 북서부와 중서부 150여개 매장에도 추가 공급하며 시장 확대에 나선다. 주류 소비자들의 반응도 좋다. 민슬리는 현재 코스트코 100개 매장에 한달 38만4000개의 즉석밥을 납품하고 있다. 각 매장에서 월 평균 3840개가 팔리고 있는 셈이다. 송태진 대표는 "코스트코는 코너당 매상이 오르지 않으면 거래를 끊는데 추가 주문이 지속적으로 들어오고 있다"고 전했다. 민슬리는 처음부터 주류 시장을 타겟으로 마케팅을 해왔고 지금까지 홀푸드 마켓 트레이더조 랄프스 알벗슨스 프레시&이지 샵라이트 웨그맨 퍼블릭스 등 다양한 주류 수퍼마켓을 뚫었다. 이번엔 코스트코에도 진입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외에도 한인 일본계 주류 시장 메인 브랜드의 자체 브랜드(PB.Private Brand) 20여종을 생산 공급하고 있다. 이는 민슬리가 처음부터 한정된 그래서 경쟁이 치열한 한인 시장에서의 충돌을 피하고 기회가 무궁무진한 메인스트림을 공략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민슬리는 한국인이 먹는 흰 쌀밥보다는 미국인이 찾는 제품을 개발하는데 주력했다. 그리고 영양이 강조된 현미나 장립미(long grain)로 주류 시장 진입을 처음 시도 진출에 성공했다. 송태진 대표는 "여타 유통 채널 진입 및 확대는 물론 한국 먹거리의 주류 시장 진출에 디딤돌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민슬리는 지난 2005년 11월 LA동부 온타리오에 미국내 처음이자 유일한 한국식 밥 공장을 설립하며 시작됐다. 민슬리의 2만여 스퀘어피트 규모의 공장에서는 월 100만개 이상의 즉석밥을 생산하고 있다. 이재희 기자

2009-01-2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